텍스트큐브닷컴에서 블로그를 생성하여 며칠 지내보니,

일단 유입과 관련해서
검색이 정말 안되는군요.
일단 통계를 통해 생각해보면 외부의 유입을 통해 방문자 수가 늘었다고는 생각하기 힘듭니다.
아직 개설한지 얼마 안되서 그런가?
일단 텍스트큐브에서 '연관글' 기능을 통해서 사용자간 왕래가 발생하는 듯 합니다.
제가 제목과 내용, 태그에 입력한 데이터를 네이버, 다음에 검색해 보니 안잡히네요;;;
음.
아무래도 정말 아직 검색로봇이 안들렀나봅니다.;;;

사용자화는 아직 베타라는 점을 생각했을때 무난하다는 생각입니다.
스킨의 쉬운 편집은 네이버의 블로그처럼 항목별로 준비된 아이템을 사용자 취향에 맞게 선택 배치할 수 있는 기능이고,
티스토리처럼 스킨 파일을 업로드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관심블로그 기능.
네이버의 '이웃' 개념과 비슷합니다.
일반 링크는 일방적인 의미를 많이 갖는 반면 '이웃'은 미니홈피의 '일촌'시스템과 닮았습니다.
일촌은 양방향이고, 이웃은 일방과 양방의 혼합이랄까.
그리고 텍스트큐브의 '관심블로그'.
일촌과 이웃의 경우 본인의 블로그나 홈피에서는 본인의 일촌과 이웃만을 확인 할 수 있는데 비해,
'관심블로그' 같은 경우는 관리자페이지에서
본인이 등록한 관심블로그들이 보여지는 것과 함께
나의 블로그를 관심블로그로 등록한 블로그들, 내가 관심블로그로 등록한 블로거가 관심블로거로 등록한 블로그들이 보여집니다.
더불어 관리자페이지의 알리미(피드) 페이지를 통해 링크를 걸고 RSS를 웹브라우저에 등록하거나 피드관리를 따로 받을 필요없이
관심블로그로 등록하면 알리미 탭을 통해 피드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웃'과 마찬가지로 같은 텍스트큐브닷컴의 블로그 끼리만 가능하다는 것은 좀 단점이라고 생각되네요.

아직 등록된 글과 댓글 방명록 등 충분치 않아서 인지 센터의 화면은 티스토리보다 깔끔하다는 생각입니다.

이렇게 저렇게 생각해 봤을때,
텍스트큐브는 티스토리의 시스템에 네이버 블로그의 서비스를 융합한 블로그랄까요.
아직 베타라는 점을 고려하고 차후 구글에서 서비스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티스토리가 쓰고싶은데 어렵다는 분들에게 적당할 것 같네요.

텍스트큐브는 현재 베타테스트 중으로 테스터들만이 사용을 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뭐 티스토리 초반과 비슷한듯 한데요.
뭐 관련된 정보는 관심있으신 분들이라면 다들 어느 정도는 아실거라고 생각됩니다.
(야심한 시간에 내일은 또 출장이라 짧게 쓰려고 마음먹고 시작했습니다.;;)

저는 티스토리에 두개의 블로그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뭐 하나로 여기는 개인적인 공간입니다. 남들의 평가를 바란다거나 뭔가 정보가 될만한 것들은 솔직히 별로 없다고 생각하고,
대신 내가 하고 싶은 말들을 풀거나 하는 공간으로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제가 관심 갖고있던 몇몇 분야의 새소식을 담아낸 블로그입니다.
일종의 저의 스크랩로그(?)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개의 블로그 다 굳이 많은 인원에게 알려지거나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평가를 얻고자 하려는 의도도 없었고,
저 자체가 글을 부연 사진이나 그림을 덛붙혀 가면서 질서정연하게 설명하거나,
조리있게 주장하는 글을 쓸 재능도 없습니다.

파워블로거? 그런거엔 관심도 없습니다. 그럴만한 능력도 없구요.
다만 저는 새로운 환경을 경험해보고 싶었기 때문이랄까
다른 한 블로그를 텍스트큐브로 이사를 하게 됐습니다.
이곳은 친분있는 분들이 찾아오시기 떄문에 이사하기 꺼려지더라구요.
아직 그곳에서의 생활이 짧아 좋은지 싫은지 말 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되는군요.

아마도 이벤트의 효과도 있겠지만
지금 초대장이 많이 퍼지고 있는 시점에서
새로운 블로그를 경험하고자 하시는 분들도 다수 계실거라는 생각이듭니다.

+ Recent posts